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코딩응급실

Q: 문자, 사진을 저장이 가능한 db가 뭐가 있을까? 본문

궁금증

Q: 문자, 사진을 저장이 가능한 db가 뭐가 있을까?

Daeryuk Kim 2024. 12. 6. 15:42

문자(text)와 사진(image)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(DB)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. 선택은 사용 사례와 요구사항(예: 데이터 크기, 성능, 확장성 등)에 따라 다릅니다. 아래는 주요 DB와 각각의 특징입니다.

1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RDBMS)

 

대표 DB: MySQL, PostgreSQL, MariaDB, SQLite

 

문자 저장: 일반적으로 VARCHAR, TEXT 데이터 타입을 사용.

 

사진 저장:

 

BLOB (Binary Large Object) 타입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저장 가능.

 

하지만 이미지를 저장하기보다는 **파일 스토리지(예: AWS S3)**에 저장하고 경로(URL)만 저장하는 것이 더 효율적.

 

 

장점:

 

데이터 구조화가 잘 되어있음(스키마).

 

SQL을 통해 복잡한 쿼리 가능.

 

데이터 무결성 보장.

 

 

단점: 대규모 이미지 데이터를 다룰 때 성능 이슈 발생 가능.

 

 

2. NoSQL 데이터베이스

 

대표 DB: MongoDB, Cassandra, CouchDB, DynamoDB

 

문자 저장: JSON 형식으로 유연하게 저장 가능.

 

사진 저장:

 

MongoDB의 GridFS 같은 기능으로 대용량 파일 저장 가능.

 

하지만 이미지 파일을 외부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DB에는 경로(URL)만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.

 

 

장점:

 

비정형 데이터 저장에 유리 (JSON 형식).

 

확장성 높음(수평 확장 가능).

 

스키마가 없어서 유연함.

 

 

단점: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만큼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음.

 

 

3.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

 

대표 서비스: Firebase Firestore, AWS DynamoDB, Google Cloud Datastore

 

문자 저장: 키-값 또는 JSON 형식으로 저장 가능.

 

사진 저장:

 

일반적으로 **클라우드 스토리지(Firebase Storage, AWS S3)**와 연동해 저장.

 

DB에는 사진의 URL만 저장.

 

 

장점:

 

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설계되어 손쉽게 배포 및 확장 가능.

 

이미지 저장과 연동이 간단.

 

 

단점: 클라우드 종속성 및 비용.

 

 

4. 전용 파일 스토리지

 

대표 DB: Amazon S3, Google Cloud Storage, Azure Blob Storage

 

문자 저장: 메타데이터 또는 JSON 파일로 저장 가능.

 

사진 저장: 이미지 파일을 그대로 저장.

 

장점:

 

대규모 이미지나 비디오 저장에 최적화.

 

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빠름.

 

비용 효율적(특히 정적 파일).

 

 

단점:

 

텍스트 데이터 관리나 복잡한 쿼리에는 적합하지 않음.

 

추천 조합

 

1. 문자와 사진이 함께 필요:

 

데이터베이스: MySQL, PostgreSQL, MongoDB

 

사진 저장: AWS S3, Firebase Storage

 

사진의 경로(URL)는 DB에 저장.

 

 

 

2. 이미지 중심:

 

AWS S3, Google Cloud Storage 같은 파일 스토리지 사용.

 

 

 

3. 소규모 애플리케이션:

 

SQLite(문자) + 로컬 파일 저장소(이미지).

 

 

 

4. 서버리스 및 클라우드 기반:

 

Firebase Firestore + Firebase Storage.

 

 

요약

 

텍스트와 이미지 둘 다 자주 다뤄야 한다면: 관계형(DB) + 외부 스토리지를 조합.

 

이미지가 많고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유리한 솔루션을 원한다면: NoSQL(DB) + 클라우드 스토리지.